겨울철 따뜻한 방에서 이불을 덮고 앉아 귤을 까먹으며 재미있는 영화나 드라마 한 편을 시청하는 모습을 상상하면 저절로 입가에 미소가 띄어지곤 합니다. 겨울철 인기 과일 귤의 칼로리와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 인기 과일은 단연 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먼저 '귤'이라는 과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귤은 과실류에 속하며 제철은 10월부터 1월 사이로, 초겨울부터 주문량이 증가하는 겨울철 인기 과일입니다. 귤은 '겨울철 비타민의 보고'라고 불리울 정도로 비타민 C가 풍부하여, 겨울 불청객 감기를 예방하는 데 탁월합니다. 귤은 크기가 작아 하나 두 개 까먹으면 어느 새 없어져버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귤 100그램 당 칼로리는 39kcal입니다. 귤은 껍질이 얇고, 크기에 비해 무게가 무거운 것을 추천드리는데, 이는 껍질만 두껍고 가벼운 귤보다 과즙이 훨씬 풍부합니다. 귤과 비슷하지만 다른 과일 중 하나가 한라봉입니다. 귤과 한라봉은 모두 비타민 C가 풍부하지만, 귤은 울퉁불퉁한 한라봉에 비해 표면이 매끄럽고 크기가 작습니다. 귤은 상온에서 15일 내외로 보관하거나 냉장고에 보관하면 됩니다. 다만, 귤을 겹쳐서 보관할 경우 쉽게 상하므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귤은 일조량이 풍부하며 기온이 따뜻한 곳에서 잘 재배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적 기온이 따뜻한 제주도에서 귤이 대량으로 재배되어 전국 각지로 유통되곤 합니다.

 

 

귤 100그램 당 칼로리는 39kcal입니다.

 

 

 귤은 껍질을 제거한 후 그대로 섭취하거나 즙을 내어 마시기도 하며, 통조림으로 가공하여 제과제빵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귤은 칼로리가 100그램 당 39kcal로, 비교적 낮은 편에 속하여 비만인 사람들에게도 이로운 간식입니다. 그러나 귤 또한 과잉 섭취하면 다이어트에는 이롭지 않으니 유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귤에는 함유된 다량의 비타민 C는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며 피부와 점막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겨울철 감기 예방에 효과가 있습니다.

 

 

귤의 대표적인 효능은 겨울철 불청객 감기를 예방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귤의 크기는 껍질을 포함하여 대략 100그램 내외입니다. 껍질을 모두 제거한 귤 자체의 무게는 90그램 정도로, 귤 한 개 당 칼로리는 30~39kcal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귤은 감기 예방 외에도 디톡스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귤 껍질을 제거하면 안쪽에 하얀 심지가 붙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하얀 섬유질에는 펙틴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펙틴은 우리 몸 속의 각종 노폐물과 독소를 몸 밖으로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귤을 섭취할 때, 하얀 심지를 모두 제거한 후에 먹는 것 보다는 있는 그대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귤은 감기 예방 뿐만 아니라, 디톡스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귤은 감기 예방, 디톡스 효과 외에도 변비 예방 및 다이어트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귤은 90퍼센트 이상이 수분으로 구성된 과일로, 양질의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귤 섭취로 몸 안으로 들어온 식이섬유가 장 운동을 촉진시켜 변비를 예방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 기간에 귤을 식단에 추가하면 변비 걱정 없는 건강한 다이어트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귤 속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귤 섭취 후 포만감을 오랫동안 지속시킵니다. 더불어 귤 속 다량 함유된 수분과 비타민 C 성분은 피부 건강을 유지하며 다이어트를 이어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한편, 귤 속의 테르펜 성분은 중추 신경을 자극하여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가 있습니다.

 

 

 

귤은 변비 예방,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으며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을 줍니다.

 

 

 

 한편, 귤은 예로부터 과육보다 껍질의 효능이 더욱 뛰어나다고 할 정도로 귤 껍질에는 우리 몸에 이로운 성분이 풍부합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귤피는 따뜻한 성질로 호흡기 보호 및 치료에 뛰어나고 원활한 소화 작용을 돕는다고 합니다. 귤 껍질을 말린 후 한 번 볶아 물에 끓여 만드는 귤피차는 혈관 건강을 개선하고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노화를 방지하며, 풍부한 비타민 C로 피로 회복과 면역력 강화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따끈한 군밤, 맛있는 밤의 효능 및 부작용 총 정리!

코 끝이 차가워지는 늦가을, 따끈하게 삶은 군밤은 많은 사람들의 입맛을 자극하는 인기 간식입니다. 밤의 효능은 무엇이고 부작용이 있다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먼저 '밤(chestnut)'

balancedlife.tistory.com

 

 

 

가을 제철 과일 배, 배의 효능 BEST 3

가을이 제철인 과일 중 하나가 배입니다. 사과보다 크기가 큰데다 수분 함량이 높아 배는 시원한 맛이 더욱더 일품이며, 수확 시기나 재배 환경에 따라 당도 또한 사과 못지않은 경우가 많습니

balancedlife.tistory.com

 

 

 

 

 

 

 

 

 명절, 생일과 같은 특별한 날이나 감사를 전해야 할 때 선물하게 되는 건강보조식품 보양식으로 동충하초를 꼽을 수 있습니다. 동충하초의 효능 BEST 5와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충하초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동충하초란, 자낭균류 맥각균목 동충하초과의 소형 버섯류로 '하초동충'이라고도 합니다. 대부분 숙주가 되는 곤충에 기생하면서 숙주를 죽이고 곤봉 또는 줄 모양 등의 자실체를 냅니다. 따라서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버섯으로 변한다는 뜻에서 '동충하초(冬蟲夏草)'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중국 진시황제와 양귀비가 애용했다고 전해지는데, 중국의 청해, 서광, 운남성 등 해발 4,000m 이상의 인적이 드문 고원지대에서 자생하여 생육 조건이 무척 까다로운 관계로 인공재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국에서는 인공재배에 성공하여 재배되고 있습니다.

 

 

 동충하초는 고가의 약용 버섯으로 보통 약으로 처방합니다. 그래서 동충하초는 약으로 다려 섭취하거나 요리에 사용할 경우 채반에 받쳐 흐르는 물에 살살 씻어 삼계탕 등 보양식 요리에 첨가하여 건강을 보충하는 음식으로도 만들어집니다. 동충하초의 칼로리는 100그램 당 280kcal로, 열량이 낮은 편에 속합니다.

 

 

동충하초의 효능은 무엇일까?

 

 동충하초의 효능 BEST 5

 

1.  면역력 증진 및 피로회복 촉진

 

 동충하초는 면역세포를 활성화하고 면역에 필요한 물질을 생성하는 데 도움을 주어,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습니다. 동충하초에는 약 45%의 베타글루칸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다당류의 일종으로 알려진 베타글루칸은 면역체계의 강화를 통해 면역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고 합니다. 또한 각종 고분자물질 분획 투여군에서 동충하초는 뛰어난 면역 증강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더불어 동충하초의 효능으로 꼽히는 피로회복 촉진은 인체의 에너지 공장인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를 향상시켜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분자물질 분획 투여군에서 모두 유의미한 항피로 동충하초의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2.  폐, 간, 신장 기능 강화

 

 동충하초는 폐를 보호하고 건강하게 만들어 주어, 폐의 호흡 기능 감퇴로 인한 해수 천식, 기침 시 피가 나오는 현상 등을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동충하초는 에르고스테롤, 다당체, 만니톨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간 건강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동충하초는 독성 물질로 인한 간 손상을 줄이고 간 섬유즐에 작용하여 면역 기능을 조절하고 항바이러스 능력을 향상시켜 바이러스성 간염에 필요한 역할을 합니다. 더불어 동충하초에는 D 만티놀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수분을 끌어들여 이뇨 작용을 도와주어 신장 기능 강화에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동충하초는 생체 반응을 촉진하여 독소 제거에도 도움을 주고, 특히 코디세핀이라는 항생 물질과 다당체 함유로 니코틴 등의 독성 물질 해독을 도와주어 흡연자에게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혈관 건강 및 심장 기능 증진

 

 동충하초에는 다량의 칼륨이 함유되어 있어 체내 나트륨을 몸밖으로 배출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동충하초는 고혈압 예방은 물론 혈관 건강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또한, 동충하초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은 80% 이상이 불포화지방산인데, 이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켜 피를 맑게 해주고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등과 같은 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더불어 동충하초는 저산소증에 대한 심장의 내성을 향상시키고 심장의 산소 소비를 줄이며 부정맥에 저항하는 효과가 있어 심장 기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동충하초는 인체 기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항암 효과

 

 동충하초에는 항암 작용을 하는 코르디세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암 예방에 도움을 주는데, 특히 폐암이나 간암 방지에 효능이 뛰어납니다. 또한, 동충하초에는 밀리타린이라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암 세포의 발생 및 성장을 억제시키고 증식을 막아주어 항암 작용에 강력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더불어, 동충하초를 섭취하면 면역 기능을 강화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유기체의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충하초의 종양 억제율이 83%에 이른다고 합니다.

 

 

5.  노화 방지, 항노화 효과

 

 동충하초는 노화 방지에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는데, 노화에 대한 내성은 알츠하이머 즉, 치매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동충하초에는 비타민E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주어 노화를 방지합니다. 또한 동충하초는 성인병으로 악명 높은 당뇨병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동충하초는 췌장의 기능을 강화시켜주고 인슐린의 분비를 유도하는 효능이 있어 혈당 조절과 당뇨병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동충하초의 부작용은 무엇일까.

 

 

동충하초 부작용

 

 동충하초는 약재나 건강 기능 식품으로 주로 쓰이기 때문에 큰 부작용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건강에 이상이 있거나 꾸준히 복용하는 약이 있을 경우, 또는 임산부의 경우 복용 전 의료 전문가의 충분한 상담 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충하초는 보통 열이 많거나 염증이 매우 심한 경우, 급성 기침환자, 어린이, 임산부, 모유 수유 중인 여성에게는 복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또한, 동충하초를 지나치게 과다 섭취할 경우 위장 장애나 두통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몸 건강 비법 더 알아보기!

 

 

 

몸에 좋다는 녹용, 종류 및 효능과 주의 사항 총 정리

명절이나 기념할 일이 생길 때, 오고 가는 정으로 주고받는 선물 중 하나인 녹용! 몸에 좋다고 소문난 녹용의 종류와 효능은 무엇인지, 주의사항까지 모두 정리해보았습니다. 녹용의 종류 먼저

balancedlife.tistory.com

 

 

 

장어즙 효능 BEST 5 알아보기 & 장어즙 부작용 총 정리

최고의 스테미너 음식 중 하나로 꼽히는 장어는 한국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인기 보양식으로, 장어즙과 같이 장어 성분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이 다양하게 양산되고 있습니다. 장어는 서식지에

balancedlife.tistory.com

 

 

 

 

 

 

 코 끝이 차가워지는 늦가을, 따끈하게 삶은 군밤은 많은 사람들의 입맛을 자극하는 인기 간식입니다. 밤의 효능은 무엇이고 부작용이 있다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달고 맛있는 밤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밤(chestnut)'에 대해 알아보면, 밤나무의 열매인 밤은 지름 2.5∼4㎝의 짙은 갈색으로 익는 특징이 있습니다. 한자어로는 율자(栗子)라고도 하는데, 아시아는 물론 유럽, 북미, 북아프리카 등 다양한 원산지에서 생산되며, 한국밤·일본밤·중국밤·미국밤·유럽밤 등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재배하는 품종은 재래종 가운데 우량종과 일본밤을 개량한 품종입니다. 한국밤은 서양밤에 비해 육질이 좋고 단맛이 강해서 우수한 종으로 꼽힌다고 합니다. 밤은 주로 국내 중남부지방에서 생산하며 8월 하순∼10월 중순에 수확하고 있습니다.

 밤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기타지방, 칼슘, 비타민A·B·C 등이 풍부하여 발육과 성장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밤의 성분 중 비타민C 함량이 높아 피부미용과 피로회복, 감기예방 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또한, 생밤은 비타민C 성분이 알코올의 산화를 도와 주어 술안주로도 이로운 특성이 있습니다. 밤의 단맛인 당분에는 위장 기능을 강화하는 효소가 들어 있으며, 각종 성인병 예방과 신장 보호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밤은 날로 껍질을 벗겨 먹거나 껍질 그대로 삶아 먹는데, 수분이 13% 정도 되도록 말리면 당도가 더 높아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밤을 꿀이나 설탕에 조리거나, 가루를 내어 죽 또는 이유식을 만들어 먹기도 하고 통조림이나 술, 차 등으로 가공하여 먹습니다. 또한, 밤은 각종 과자와 빵, 떡 등의 재료로도 쓰이며 유럽 밤과자인 마롱글라세(marrons glaces)가 디저트로 유명합니다.

 

 밤은 겨울철 출출할 때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간식으로,  따끈하게 잘 익은 고소한 군밤은 늦은 저녁 간식으로 안성맞춤입니다.

 

 

군밤은 가을, 겨울철 입맛을 자극하는 건강한 디저트입니다.

 

 밤을 구입할 때에는 알이 굵고 도톰하며 껍질은 윤이 나는 갈색인 것을 고르고, 0℃에서 1개월 가량 보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가정에서 소량의 밤을 저장할 때에는 비닐봉지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데, 비닐봉지에 밤을 넣고 밀봉한 후 0℃로 저장하면 됩니다. 밤을 손질할 때에는 먼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 껍질을 벗이고 물에 일정 시간 담가 두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합니다. 밤은 생으로 먹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굽거나 찌거나 삶는 등 조리하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며 죽이나 과자, 통조림 등으로 가공하여 섭취하기도 합니다. 밤은 탄수화물이 주성분으로 100그램 당 162kcal이기 때문에 체중 감량 시 적합하지 않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밤은 영양이 골고루 들어 있는 자양식품으로서 병을 앓고 난 사람에게 병후 회복으로 도움이 되며, 성장기 유아나 어린이에게 적합한 식품입니다.

 

 

밤의 효능과 부작용은 무엇일까?

 

 밤의 효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밤의 효능

 

1. 성장 발달에 도움

 

단백질, 탄수화물,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있어 근력 강화에 뛰어나고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성장발달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성인병 예방 및 신장 기능 강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고지혈증을 일으키는 중성지방의 수치를 낮추고, 심장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신장 기능을 향상 시켜주고 건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숙취해소 및 피로회복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알코올을 해독하며 숙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타민 C는 피로회복과 감기 예방에도 효능이 뛰어납니다.

 

4. 면역력 증진

 

 각종 비타민, 단백질, 무기질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어 밤은 자양식품으로 유명합니다. 당지질 성분이 풍부해 면역력 증진에도 매우 효과적입니다.

 

5. 피부 미용 및 노폐물 배출

 

 비타민 C, 베타카로틴, 폴리페놀 등이 풍부하여 깨끗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또한, 칼륨과 섬유소가 풍부하여 노폐물을 배출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6. 치매 방지

 

 밤의 속껍질에는 항산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뇌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치매를 예방해 줍니다. 밤을 섭취하면 인지 능력 및 기억력 증진에도 도움을 줍니다.

 

7. 시력 보호​

 

 항산화 물질과 비타민 A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야맹증에 효과적이며, 시력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밤의 부작용

 

1. 밤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몸에 열이 많은 체질에게는 과다 섭취를 피하고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밤에 함유된 당분은 설사를 멎게 하는 효소가 함유되어, 변비가 심한 사람들은 유의하여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밤은 칼로리가 높은 고열량 식품으로, 체중 감량 중인 분들에게는 유의해야 할 식품입니다.

 

 

 

 

 

 가을, 겨울철 인기 간식, 밤의 효능과 밤의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을 제철 과일 배의 효능 및 부작용, 가을 열매 은행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하단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가을 제철 과일 배, 배의 효능 BEST 3

가을이 제철인 과일 중 하나가 배입니다. 사과보다 크기가 큰데다 수분 함량이 높아 배는 시원한 맛이 더욱더 일품이며, 수확 시기나 재배 환경에 따라 당도 또한 사과 못지않은 경우가 많습니

balancedlife.tistory.com

 

 

 

 

 

가을 열매, '은행' 효능과 부작용 총 정리

가을에 만나는 반가운 얼굴이 있습니다. 바로 단풍 시즌에 만나는 노란 은행나무인데, 은행나무의 열매인 '은행'은 길거리에 떨어져 지독한 냄새로 행인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 때도 있습니

balancedlife.tistory.com

 

 

 

 

 

 

 

 

 지난 포스팅을 먼저 참고바란다.

 

 

 

마음 코칭의 목표 : 변화 (1)

마음 건강을 위한 마음 코칭의 목표는 기본적으로 '변화'이다. 변화에 대해 먼저 이해해보고자 한다. 1. 행동 변화에 대한 통합적 이해 코칭이 무엇인지를 한 단어로 요약하라고 한다면 대부분의

balancedlife.tistory.com

 

 

 

 (2) 숙고 단계(contemplation stage)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기는 하지만 아직 행동을 하겠다는 결단은 없는 단계다. 이 단계에 속한 사람은 변화의 장단점을 이해하지만 자신의 역기능적인 행동의 장점과 이 행동을 극복하는 데 드는 시간과 에너지, 노력 등 손실을 애써 찾으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이 단계에서 지체를 많이 하게 되며, 변화에 대한 양가 감정과 소망적 사고를 가진다. 이 단계의 사람들은 앞으로 6개월 이내에 행동의 변화를 시작하고자 하는 상태다.

 


(3) 준비 단계(preparation stage)


 변화 의도와 변화 행동이 연결되는 단계다. 이 단계에 속한 사람은 한 달 이내에 행동을 취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일종의 계획도 있어서 작은 행동적 변화들을 보일 수 있다. 기존의 문제행동이 다소 줄어들지만 효과적인 행동 기준까지는 아직 도달하지 못한 상태다.

 

 


(4) 실천 단계(action stage)


 개인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 경험, 환경 등을 조정하는 단계다. 여기서는 행동의 변화가 관찰되고, 이를 위해 개인은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 문제가 조정되는 것이 겉으로 드러나면서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많이 받을 수 있다. 기존에는 이 단계를 변화 과정 전체로 잘못 규정하기도 하였다. 6개월 동안에 역기능적인 행동을 성공적으로 바꾸었다면 이 단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으며, 문제행동이 정해진 기준에 맞게 수정된다. 겉으로 드러나는 변화에 대한 노력이 이 단계의 핵심 특성이다.

 


(5) 유지 단계(maintenance stage)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실천 단계 동안에 얻은 이점을 견고하게 다지는 단계다. 변화된 행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재발되지 않는 것이 이 단계의 핵심 특성이다. 상기한 변화 단계의 정의에 기반하여 개인은 자신이 어떤 변화 단계에 있는지를 다음의 질문을 통해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다.

 

< 변화 단계 평가 >

 

- 평가


1. 나는 내 문제를 여섯 달 전에 해결했다.
2. 나는 지난 여섯 달 사이에 문제해결을 위한 행동을 취했다.
3. 나는 다음 달 안으로 실행에 들어갈 생각이다.
4. 나는 앞으로 여섯 달 안에 행동을 취할 예정이다.

 

- 판정


전숙고 단계: 1~4번 모두 '아니다'
숙고 단계: 1~3번 모두 '아니다', 4번 '그렇다'
준비 단계: 1, 2번 '아니다, 3, 4번 '그렇다' 

실천 단계: 1번 '아니다, 2~4번 모두 그렇다 

유지 단계: 1~4번 모두 '그렇다


( 출처: Prochaska et al. (1994); 이희경(2014) 재인용 변형. )

 

 

 

 

변화의 과정은 사람들이 변화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2. 변화의 과정

 


 변화의 과정(Processes of change)은 사람들이 변화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Prochaska와 동료들은 심리치료의 이론과 기법 20여 개를 비교 및 분석하여 살펴본 연구를 통해 10개의 변화 과정을 추출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이후의 연구에서도 반복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변화의 과정은 개인이 문제행동을 수정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외현적/내현적 활동으로 정의되는데, 여기서는 Prochask와 Velicer(1997), Krebs와 동료들(2018)이 제시한 변화의 과정을 소개하도록 한다.

 


(1) 의식 고양


 의식 고양(consciousness raising)은 특정 문제행동에 대해 그 원인, 결과, 그리고 개선법 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의식 고양은 내담자가 전숙고에서 숙고 단계로 나아가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며, 변화의 이점과 변화 프로그램의 유익을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의 증가를 위한 개입으로 는 피드백, 교육, 직면, 해석, 미디어 캠페인 등이 있다.


(2) 감정적 각성 또는 극적 위안(dramatic relief)


 감정적 각성(emotional arousal)은 바람직한 행동이 행해졌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정 정서 해소와 그 후에 나타나는 감정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더 이상 효과가 없는 관계나 행동을 제거하는 것에서 오는 슬픔, 상실감 등이나 변화하지 않는 것에서 오는 죄책감, 후회, 두려움 등을 경험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이코드라마, 역할극, 애도, 개인적 진술, 미디어 캠페인 등을 통해 이러한 경험을 할 수 있다.


(3) 자기 재평가


 자기 재평가(self-reevaluation)는 건강하지 못한 행동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각각에 대한 자기 이미지를 인지적/정서적으로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전숙고에서 숙고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며, "나는 소파에서 감자칩을 먹고 있는(반대는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 나에 대해 어떤 생각과 느낌을 가질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가치 명료화, 건강한 역할 모델, 이미지 기법, 결정의 대차대조표 등이 자기 재평가 촉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4) 환경 재평가


 환경 재평가(environmental reevaluation)는 개인의 특정 행동이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자신이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 혹은 부정적 역할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도 포함된다. 이를 위해서는 공감 훈련, 문서화, 가족 개입 등이 사용될 수 있다.


(5) 자기해방


 자기해방(self-liberation)은 자신에게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행동하는 것을 말하며, 숙고 단계에서 준비 단계로 진전됨에 따라 자주 사용된다. 새해 결심 선언, 공공연하게 이야기하기, 다양한 대안 행동 등이 자기해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6) 사회적 해방


 사회적 해방(social liberation)은 사람들이 건강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장치를 하거나 상대적으로 소수인 집단에게 건강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기회나 대안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주로 사회정책적 측면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기회에 대한 접근성이 높을수록 변화가 촉진된다.


(7) 역조건 형성


 역조건 형성(counterconditioning)은 문제행동을 대체하는 건강한 행동을 학습하는 것을 말하며, 고전적인 상호 억제의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다. 수동성을 자기주장으로, 불안을 편안함으로, 회피를 노출로, 과잉 통제를 수용으로 대체하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과정은 주로 실천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8) 자극 통제


 자극 통제(stimulus control)는 문제행동을 촉발시키는 요인들(사람, 장소, 사물)을 통제하거나 피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유지 단계에서 사용된다.


(9) 강화


 강화(reinforcement)는 이전에는 유관성 관리(contingency management) 중 하나로 제시되었으며, 개인의 변화 노력에 대해 적절한 보상을 받는 것을 말한다. 강화 계약, 유무형의 강화물, 긍정적 자기 진술, 집단의 인정 등이 강화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


(10) 지지적 관계


 지지적 관계(helping relationship)는 긍정적 행동 변화에 대한 지지뿐 아니라 관심, 신뢰, 개방, 수용 등을 보이는 관계를 의미한다. 라포 형성이나 치료 동맹, 상담자나 코치의 전화, 동료 네트워크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