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의 5 요인 중 첫 번째 요인인 외향성과 정적 감정 간의 상관은 많은 연구에서 확립된 사실이다. 외향성은 사회성, 자극 추구, 지배성, 높은 활동성, 따뜻한 마음 등의 성격 특성들을 포함한다. 한편, 외향성이 정적 감정과 상당한 크기의 정적 상관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부적 감정과의 부적 상관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5 요인 중 두 번째 요인인 신경증 성향은 부적 감정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정적 감정과는 아주 낮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외향성이 정적 감정의 경험과 주로 관련되고 신경증 성향은 부적 감정의 경험과 주로 관련된다는 이러한 결과는 외향성과 신경증 성향이 각각 뇌의 접근 및 회피 체계에서의 개인차를 반영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외향성과 행복한 감정은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을까?

 

 

 정적 감정과 외향성 간의 관계는 여러 연구에서 반복 검증되었다. 미국인 표본을 대상으로 외향성인 사람들의 주관적 안녕감이 내향성인 사람들보다 더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외향성인 사람들은 혼자 살거나 다른 사람들과 같이 살거나, 혼자 있는 상황에서나 사회적 상황에서나 평균적으로 더 행복했으며, 이러한 외향성인 사람들의 높은 주관적 안녕감은 다양한 인종, 성, 연령 집단에 걸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주관적 안녕감을 일주일에 걸쳐 계속 측정한 연구에서도 요일에 따른 안녕감의 변화 패턴은 외향적인 사람과 내향적인 사람이 일치하였지만(예: 월요일이 가장 낮고 토요일이 가장 높음 등) 모든 요일에서 외향적인 사람이 내향적인 사람보다 더 높았다. 내향성인 사람들의 주관적 안녕감은 가장 기분이 좋은 날(토요일)에도 가장 기분이 좋지 않은 날(월요일과 일요일)의 외향성인 사람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외향성과 정적 감정 간의 인과관계는 서구인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아마도 외향성인 사람들이 내향성인 사람들보다 보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물학적 소인을 갖고 있다는 점이 그 원인일지도 모른다. 혹은 외향성인 사람들은 정적 감정을 산출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외향성인 사람들이 보다 정적인 사건들을 경험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다. 즉, 외향성인 사람들은 자신에게 보상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데 보다 성공적이라는 것이다.

 

 외향성과 내향성은 저명한 심리학자 구스타프 융에 의해 정의된 마음의 에너지 방향을 일컫는다. 외향성은 일반적으로 '사교적'이라고 표현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관심과 에너지가 외부로 향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내향성은 통상 '내성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지칭되며, 관심과 에너지가 내부로 향하는 성향을 나타낸다.

 

 외향성 및 내향성과 관련된 분류가 반드시 사람의 성격을 구분 짓는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외향성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내향성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보통 저위험을 먼저 추구하는 성향이 있다.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어떠한 사건이나 일에 대해서도 외향성을 가진 사람들은 객관성이 강한 경향을 나타내며 자신이 가진 목숨의 가치가 별로 대단한 것 같지 않다고 생각되면 쉽게 목숨 거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내향성을 가진 사람들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신을 더 소중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행복한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Big 5 : 신경증 성향

 신경증 성향은 불안, 비관성, 과민성, 신체 증상의 불평과 같은 넓은 범위의 불쾌한 사고와 정서를 포함한다. 신경증 성향 척도는 불쾌한 정서 경험에 관한 문항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기 때문

balancedlife.tistory.com

 

 

 

 

행복한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Big 5 : 자기존중감

 성실성과 우호성은 주관적 안녕감과 상관을 보였으나 외향성이나 신경증 성향보다 상관의 크기가 훨씬 낮았다. 아마도 외향성과 신경증 성향은 신경계의 접근 및 회피 체계에 근거하여 정적

balancedlife.tistory.com

 

 

 

 

행복한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Big 5 : 낙관성

 낙관성은 자기 삶에서 대체로 나쁜 일보다는 좋은 일들이 일어날 것이라는 신념이다. 낙관주의자들은 비관주의자들보다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높은 주관적 안녕감을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

balancedlif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