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는 가장 기초가 되는 강화, 처벌 등과 같은 개념 자체도 치료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많은 치료적 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행동주의 기법은 적절하게 적용될 경우에는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고 있다. 코칭에서도 다양한 기법과 행동주의 기법을 잘 병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코치는 행동주의적 기법을 잘 숙지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인 행동주의 기법 이외에도 코칭에서 쉽게 활용되는 두 가지 기법을 소개한다.

 

 

 

건강한 삶을 코칭하는 행동주의 기법에 대해 알아보자.

 

 



1. 모델링 기법

 


 모델링의 핵심은 특정 상황에서 모델의 행동을 학습하고 관찰을 통해 행동의 결과를 학습하는 것이다. 모델링은 대개 대인관계 상호작용 상황과 관련된 이슈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인지 행동적 접근과 결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모델링의 다섯 가지 기본 기능은 가르치기, 촉진하기, 동기 유발하기, 불안을 감소시키기, 저지하기 등이라고 하며, 이 다섯 가지 기능은 다음의 모델링 유형과 관련되어 있다.

 


(1) 직접적 모델링(live modeling): 어떤 모델(경우에 따라서는 치료자나 코치)이 특정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을 말한다. 모델링은 주로 여러 번 반복되는데, 모델을 관찰 후에 내담자가 관찰한 행동을 여러 번 반복한다. 예를 들어, 토끼를 두려워하는 아이가 토끼를 가지고 놀면서 두려워하지 않는 다른 아이를 보면서 자신 역시 두려움을 덜 느끼게 되는 것이 직접적 모델링이라 할 수 있다.

 


(2) 상징적 모델링(symbolic modeling): 직접적 모델링이 유용하지 않거나 적합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가장 일반적인 예는 직접적이기보다는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타깃 행동이 담긴 영화, 비디오 클립, 사진, 그림책, 장난감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술받으러 병원에 가는 아이가 나오는 책은 상징적 모델링으로써 수술에 대한 아이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자기모델링(self-modeling): 개인이 원하는 목표 행동을 스스로 수행하는 것을 녹화하는 것은 그 행동 강화에 유용하다. 사회적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다른 아이들과 상호작용하는 아이의 모습을 촬영하여 대상 아동에게 보여 준 후, 아이가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하는 모습을 녹화하여 다시 관찰하면 부적절한 행동을 최근 학습한 사회 기술로 바꾸는 데 효과적이다.

 


(4) 참여적 모델링(participant modeling): 모델이 내담자를 위한 행동을 하고, 내담자가 그 행동을 따라 하도록 이끄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담자가 사다리를 오르는 것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면 치료자는 먼저 사다리를 오르는 행동을 보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사다리를 이용하여 내담자가 직접 사다리에 오르는 것을 격려하고, 필요할 때 신체적 지원을 해 주면서 내담자가 사다리를 오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5) 내현적 모델링(covert modeling): 모델을 관찰할 수 없을 때는 내담자에게 모델의 행동을 상상하게 함으로써 도움을 줄 수 있다. 내현적 모델링 과정에서 치료자는 내담자가 상상할 상황을 설명한다. 한 연구에서 계부에게 성적 학대를 받아 다른 사람들에게 부적절한 행동을 하고 분노를 보이는 7세 청각장애 아이의 치료과정에서 내현적 모델링을 사용하였다. 그 과정에서 분노 대신 다른 아이들과 잘 어울리는 소녀를 상상하도록 하였다. 내현적 모델링을 사용할 때는 내담자가 자신이 하는 행동을 상상할 수도 있으나, 이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제3의 모델이 적절한 행동을 하는 것을 상상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건강한 삶을 코칭하는 행동주의 기법에는 모델링 기법과 응용 행동 분석이 있다.

 

 



2. 응용 행동 분석

 


 응용 행동 분석(applied behavior analysis)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행동주의 치료 방법 주 하나다. 미국심리학회에서는 응용 행동 분석을 최고의 증거 기반 기법의 하나로 인정하고 있으며, 발달장애, 특히 자폐증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응용 행동 분석이 자폐증이라는 극단적인 행동 문제를 다루는 데 효과적이기는 하나, 그 원리는 일반 성인의 행동 변화를 다루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응용 행동 분석은 기존의 기계적인 행동쉉에서 한발 더 나아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의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한다.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응용 행동 분석의 원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진술의 행동적 조작화(operationalization), 즉 고객의 추상적 진술을 구체적이고 관찰할 수 있는 행동으로 정의한 후, 이를 다음과 같은 ABC 모델(행동함수)을 통해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1) ABC 모델

 


- 선행 조건(A: Antecedent): 특정 행동 직전에 일어난 사건
- 행동(B: Behavior): 실제적인 행동. 개인이 선행 조건 혹은 자극에 대해 보이는 반응적 행동 또는 무반응
- 결과(C: Consequence): 행동의 결과. 결과는 보상과 처벌로 작동

 


(2) 코칭에서 ABC 모델을 적용한 행동 분석의 예

 


- 선행 조건(A: Antecedent): 회의 시간에 상사의 비아냥과 질책
- 행동(B: Behavior): 상사에게 목소리를 높여 반박하고, 상사의 잘못을 지적
- 결과(C: Consequence): 회의 후 동료들이 시원했다고 칭찬



 행동주의는 심리적 건강함에 대한 답을 명확하게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인간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는 매우 유용하다. 행동주의에서 사회적 인지 이론은 '기대'라는 인지적 과정을 강조하는 관점이며, 관찰학습이 해당 기제를 촉발하는 출발점이 된다. 나아가 삼원 상호작용 체계 즉, 환경, 개인 요인, 행동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행동을 조절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행동주의 모델 기법이 형성되었다. 행동주의는 코칭의 핵심 이론 중 하나이며, 내적인 변화를 통해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기존의 관점을 바꾸어 행동을 변화시켜서 내적인 변화를 꾀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행동주의 기법은 모두 코칭에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모델링 기법과 응용 행동 분석 접근을 적용할 수 있다.

 

 

 

 

건강한 삶 코칭하기 2 : 인지행동주의 관점 (1)

 지난 포스팅에서 건강한 삶을 코치하는 방법에 대해 행동주의 기법으로 검토해보았다. 건강한 삶 코칭하기 1 : 행동주의 기법  행동주의는 가장 기초가 되는 강화, 처벌 등과 같은 개념 

balancedlife.tistory.com

 

 

 

 

건강한 삶 코칭하기 2 : 인지행동주의 관점 (2)

 건강한 삶을 위한 비법을 탐구하기 위해 행동주의 기법의 포스팅과 인지 행동주의 관점 첫 번째 포스팅을 먼저 참고 바란다. 건강한 삶 코칭하기 1 : 행동주의 기법  행동주의는 

balancedlife.tistory.com

 

 

 

 

+ Recent posts